DEX(디센트럴라이즈드 거래소)와
CEX(센트럴라이즈드 거래소)는
둘 다 암호화폐를 사고팔 수 있는 거래소이지만,
운영 방식과 장단점이 꽤 다릅니다.
1. CEX(중앙화 거래소)
Centralized Exchange의 줄임말입니다.
예: 업비트, 바이낸스, 코인베이스 같은 곳이에요.
특징: 회사(운영 주체)가 모든 걸 관리해요.
사용 방법: 회원가입 → 본인인증(KYC) → 거래 가능
장점
- 사용하기 쉽고, 앱이 깔끔해서 초보자도 편함
- 거래 속도가 빠름
- 원화 입출금 가능(은행 연결)
단점
- 내 코인을 거래소 지갑에 맡기는 구조 → 해킹·파산 시 위험
- 운영 주체가 규제나 법에 따라 계정·출금을 제한할 수 있음
2. DEX(탈중앙화 거래소)
Decentralized Exchange의 줄임말입니다.
예: 유니스왑(Uniswap), 스시스왑(Sushiswap), 팬케이크스왑(PancakeSwap)
특징: 회사 없이 블록체인 스마트컨트랙트로 운영
사용 방법: 메타마스크 지갑 연결 → 지갑에서 직접 거래
장점
- 내 지갑에서 바로 거래 → 내 코인 100% 내가 보관
- 전 세계 누구나, 계정 없이 이용 가능
- 신생 코인, 희귀 토큰 거래 가능
단점
- 원화 입출금 불가 → CEX를 통해 코인 전송 후 사용
- 사용법이 어렵고, 수수료(Gas)가 비쌀 수 있음
- 잘못된 토큰(사기코인) 위험 존재
3. 간단 비교표
정리
CEX: 은행처럼 편하지만, 돈을 맡겨야 함
DEX: 현금지갑처럼 직접 보관하지만, 사용이 조금 복잡
많은 트레이더들은 CEX와 DEX를 함께 사용해요.
예를 들어, CEX에서 코인을 산 뒤, DEX로 옮겨 희귀 토큰을 거래하는 식이죠.